완벽한 온라인 제자훈련를 찾기위한 12단계

나는 실천신학대학원중학교에서 실천신학을 공부하면서 '하나님의 선교'라는 관점으로 교회 공동체를 바라보게 됐다. 교회는 '부르심'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성령 내부에서 같이 친교를 나누며 '세움'을 받아,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신 것함께 '보냄'을 받은 공동체다. 그러니 교회 수많은 구성원이 각자의 목숨 속에서 하나님국가 가치를 품고 목숨을 살아 내는 것이 다른것보다 중요하다. 교회의 존재 이유는 교회가 잘되는 것에 없으며,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인생에 있을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해, 사랑이 요구되는 세상과 타자를 위해 교회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마음에 '과연 주님께서는 내가 여성 담임목사로서 어떤 형태으로 목회해 나가기를 원하실까' 하는 걱정이 더해졌다. '여성주의적 목회'는 내가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이유 때문에 저절로 되는 것은 아니라는 마음 때문이었다.

나의 고민은 교우들과 직접 만나면서 조금씩 달라져 왔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말씀을 맡은 이로서 목회자의 역할이 중요허나, 한번에 그 교회 공동체를 이루는 각 지체의 빛깔과 목소리 역시 중요해요는 것을 거듭 느끼게 됐다. 결국 그 말씀을 세상 속에서 살아 온라인 제자훈련 내야 하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곧 '교회'라는 마음이 들었다. 어떤 의미에서는 내 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어떠어떠한 목회를 해야 한다'는 목표 의식과 비전으로 가득 차 있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생각을 열고 교우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던 것 같다. 저러면서 나와 우리 교회 공동체에게 교회란 '함께 가꾸어 가는 공동체'라는 의식이 형성됐다.

처음부터 저희 교회가 어떤 공동체이길 원하는지 교우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정답을 정해 놓지도, 서둘러 결론을 내리지도 않았다. 목회자를 비롯해 연장자·직분자 등 어느 누구도 발언을 독점하지 않기를 바랐다. 감사하게도 저희 교회는 서로를 존중하며 대화를 나눌 대비가 돼 있었고, 각자가 자기의 음성을 냈다. 교회 규모가 작으니 서로 이럴 때이 경우 논의해서 다채롭고 새롭게운 시도를 할 수 있었다. 

image

첫해에는 공교회로서 의미를 살려 '교회력에 따른 설교'를 중심으로 예배를 드렸는데, 바로 이후에는 설교에 질문과 대답을 함유된 토론이 들어가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렇기 때문에 이듬해부터는 특별 절기 때를 불포함하고는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대화식 말씀 나눔 기한을 가졌다. 목회자가 제일 먼저 각 본문의 인지를 돕는 설명을 하여 핵심 주제를 전하면, 교우들이 함께 질문과 깨달은 바를 나누는 방법이었다. 비교적으로 기간 제약을 많이 받지 않는 유연함을 가진 교회여서 그런 시도가 가능했던 것 같다. 

이러한 대화하며 교회를 함께 가꾸어 가는 공정에서 저희 교회의 지향이 조금씩 드러나게 됐는데, 전원의 지향은 전원이 가진 조건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우선 교우들의 거주지가 멀리 흩어져 있었기 덕에 자연스럽게 공간을 소유하기보다 공간을 '공유'하는 공동체를 지향하게 http://query.nytimes.com/search/sitesearch/?action=click&contentCollection&region=TopBar&WT.nav=searchWidget&module=SearchSubmit&pgtype=Homepage#/온라인교회 됐다(최근 공유 사회적 관점에서 예배당 공유에 대한 새로이운 시도가 많이 있는데 반가운 일이다). 그리고 주일예배 외에 다른 주중 예배나 단체가 없는데, 이것은 모이는 예배보다 흩어져 드리는 '생명의 예배'를 중시하는 모두의 지향과 당연하게 맞아약해진다. 이 같은 저들의 지향은 코로나(COVID-19) 팬데믹 속에 더 빛을 발하였다. 공간 중심, 모이 상황은 예배 중심이 아니었기 덕분에 오히려 빠르게 온,오프라인 예배로 전환할 수 있었고, 일방향적인 매체가 아닌 쌍방향적 토론이 가능한 모습의 온,오프라인 예배·그룹을 하며 더 깊고 친밀한 교제를 나눌 수 있었다.